디지로그digilog의 의미는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의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적 요소를 합성한 것을 말한다. 엄청나게 진화를 거듭하는 디지털 세상을 이해하고 그것을 아날로그적인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조금 더 나은 삶을 살아보자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흔히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도 표현하고 있는데 간략하게 설명하면 디지털이나
[정은상 창직칼럼] 디지로그로 삶의 질 높이기

디지로그digilog의 의미는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의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적 요소를 합성한 것을 말한다. 엄청나게 진화를 거듭하는 디지털 세상을 이해하고 그것을 아날로그적인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조금 더 나은 삶을 살아보자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흔히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도 표현하고 있는데 간략하게 설명하면 디지털이나
격려의 사전적 의미는 용기나 의욕이 솟아나도록 북돋워 주는 것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격려와 칭찬을 먹고 산다. 나이, 성별, 인종, 지위를 가리지 않고 격려의 말 한마디에 죽고 사는 것이 사람이다. 하지만 중국보다 더 유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우리는 격려와 칭찬에 너무나 인색하다. 아이러니하게도
노년에 대한 선입관을 버려야 한다. 특히 타인보다 노년층 자신이 먼저 선입관을 버리지 못하면 당연히 다른 사람들도 노년층을 그렇게 보게 된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가듯 선입관은 평생 몸에 찰거머리처럼 바싹 달라붙어 우리를 괴롭힌다. 선입관은 바뀔 수 없다는 선입관마저 생겨 이러지도
최근 어떤 포럼에서 서울대 송호근 교수가 과격한 제안을 했다고 한다. 그 내용은 5060세대에게 이제 모두 물러나 젊은이들에게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요지였다. 그렇지 않다. 5060세대 즉 베이비부머는 이제 바야흐로 전성기를 맞았다. 송 교수의 강연 내용 중 5060세대가 기득권을 움켜쥐고 있으니 물러나자는